작품 ’82년생 김지영’ 시사점

논란의 주인공 ’82년생 김지영’

2016년에 발간되어 인기 작품로 이름을 떨치며, 무려 100만 부 유통을 달성할 정도로 많은 이슈를 낳았던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원작으로 제작한 영화 ’82년생 김지영’이 선보이게되었습니다. 영화의 제작부터 캐스팅, 촬영 소식은 물론 공개 소식까지 이슈를 나은 이 영화는 많은 논쟁이 되었고 그러한 부분이 노이즈 마케팅되어 생각보다 많은 관람객을 불러 모았습니다.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1982년에 태어나 2019년 오늘날 어려운 취업 환경 속에서 취업을 위해 열심히 살아가는 김지영'(정유미)의 아무도 몰랐던 스토리를 그린 작품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은 개봉하기 전, 수많은 사람들이 여러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그 세대를 살아간 여자이라면, 충분히 그러한 시대의 전통을 받아들이고 살아간 세대 아닌가?” 라는 의견이 대대수 였습니다. 혹시라도 젠더 이슈를 건드릴 만큼 난해한 스토리를 쉽사리 입박으로 언급하는 관중도 논란의 여지를 인지해서인지 입을 조심하는 눈치였습니다. 하지만 영화는 1982년에 태어난 주인공 ‘김지영’을 중심으로 그녀의 어머니를 비롯한 많은 여자 성인들의 이야기를 그려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 ’82년생 김지영’은 주인공의 어린 시절부터 지금, 그리고 어머니와 할머니, 시어머니와 회사 동료들까지 다양한 여성을 통해 내용을 그리고 있습니다. 다들 그렇게 살아간다고 생각할 정도로 각자의 삶을 살아가는 이들의 내용은 누가 잘못했다고 말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그저, 그 시대의 자신의 삶을 살아간 이들의 스토리이자 자신이 하고자 했던 일들을 해나가며 전진한 이들의 이야기입니다. 그저 이 이야기가 여자 인물들에 집중했다고 해서, 이것이 젠더 갈등을 불러일으킨다고 볼 수는 없을 것입니다.

’82년생 김지영’이 완벽하게 잘 만들어진 영화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수도 있습니다. 소설을 정확한 비교를 객관화 하여 평가를 하기에는 무리한 부분이 있듯이, 공원에 나와 아이와 산책하며 모처럼 커피 한 잔을 마시는 ‘지영’을 보고 여느 여성들이 “나도 시집가서 남편이 벌어다 주는 돈으로 커피나 즐기며 살고 싶다”라고 말하는 남자 성인, 카페에서 “아이 데리고 나와서 피해만 끼치는 맘충”이라고 대화하는 사람(남자 둘, 여자 하나) 등은 조금 민감한 소재의 논란으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를 두고 남성과 여성의 입장에 대한 공감이 갈리고 있으며, 당연한 일상을 논하는 자와 더는 당연한 상황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생각이 대립하고 있는것 같습니다.

엄마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지영’의 상황을 모두가 완벽하게 공감하진 못하겠지만, 아이이자 학생이었던, 그리고 사회 초년생인 ‘지영’의 스토리들은 일부 공감할 수도 있습니다. “여자는 그저 조신하게 처신해야 해”라는 말부터 손자를 더 위하는 할머니의 대토, 그리고 누군가가 쫓아와 두려워하는 분위기에도 걱정해주는 말로 던지는 “교복 치마는 왜 그렇게 짧게 하고 다녀?”, “여자애가 일찍 일찍 다녀야지” 등의 말들을 대부분의 여성들이 들어 봤을 것입니다. 또한 어린 시절에 볼 수 있었던 할머니 댁에서의 상황까지 연출하고 있으므로 일부 여러 이들이 공감될 수 있는 부분일 수도 있습니다.

’82년생 김지영’ 영화의 캐스팅 소식부터 좋지 않은 말들을 들어야 했던 정유미와 공유는 생각 이상으로 인물을 잘 표현해냈습니다. 예고편에서부터 의문점을 남겼던 ‘지영’의 이상한 행동은 정유미의 뜨거운 연기로 완성되었으며, 공유 또한 ‘대현’이라는 인물을 통해 영화가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연기하였습니다. 벌써 세 번째 호흡을 맞춘 두 사람은 이번에 처음으로 부부 역활로 인연을 맺었는데, 각자 서로에게 필요한, 더불어 이야기에 중요한 인물을 잘 표현하였는 찬사를 받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엄마 ‘미숙’으로 출연한 김미경을 비롯하여 ‘김팀장’ 박성연, 언니 ‘은영’ 공민정과 동생 ‘지석’ 김성철까지 다들 굉장한 열연을 보였다는 평이 대다수입니다.

Share

You may also like...